본문 바로가기

Dev30

[Trouble_02] @NotNull 어노테이션 import @NotNul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려는 데 책에서는 javax.validation.constraints.NotNull 이 import가 되어있는 상황근데 내 프로젝트에서는 @NotNull을 입력하고 임포트를 하려고해도 나타나지 않고 직접 해당 패키지를 임포트를 하려고 하는데도 찾아지지 않는 상황 구글링 결과 현재 내가 사용하는 Spring boot 버전은 3.4.2버전스프링 부트 2.3.0버전부터 starter web Dependency에 spring-boot-starter-validation이 제외가 되었다고 한다.그러므로 직접 추가를 해야하는 데 해당 화면 처럼pom.xml 우클릭 -> Add Starters 클릭 -> Validation 검색 후 추가 -> 프로젝트 클린그러면 디펜던시가 추가 된 것.. 2025. 3. 4.
[Trouble_01] 포트중복(8080) Spring In Action 책을 읽으면서 코드를 작성하며 실습을 하던 중코드 작성을 완료하고 서버를 기동했는데, 아직 구현하지도 않은 로그인 창이 떴었다.이때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는 기본 포트인 8080을 사용했는데 다음과 같은 화면이 떴다.다짜고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뜬 창에서 내가 사용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도 먹통이었고, 재부팅을 해도 똑같은 상황이었다..cmd 키고 실행중인 목록 확인을 해보니다음과 같이 8080으로 무언가 떠있었다. taskkill을 해도 먹지않았다. 원인은 예전에 oracle을 설치하면서 자동으로 설치되는 서비스인 Oracle TNSLSNR Excutable가 해당포트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상황이었음   해결방법은 oracle의 포트를 변경하거나 나의 .. 2025. 3. 4.
[FastAPI] 1. 설치 및 실행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백엔드는 회사에서 끄적거려본 FastAPI로 진행해보려고 환경부터 구축을 했다. 문제 1. 가상환경을 만들고 vscode 터미널에서 가상환경을 활성화 하려는 데 conda 명령어가 먹지않았다..시스템 환경변수에서 conda 경로가 추가되어있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이 작업을 수행하고 vscode 재실행 및 터미널을 새로 열면 해당 캡쳐처럼 맨 앞부분에 내가 만든 가상환경이 설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fastAPI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명령어를 입력한다.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fastAPI를 사용할 때 필요한 uvicorn도 자동으로 설치가 된다. 그리고  main.py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준다.해당 코드 및 내용은 FASTAPI 공식문서를 참조했습니다... 2024. 8. 20.
05. reactive, ref 오늘은 반응형에 관련한 것을 짧게 기록하려고 한다. reactive와 ref인데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reactive - 객체, 배열 등 컬렉션 계열에 사용가능ref - 타입에 상관없이 사용가능결론적으로 말하면 위에서 정리한 것과 같다.임시로 만들어 놓은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다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다.state라는 reactive함수로 count: 0이라는 객체를 선언했고그 밑에는 num이라는 0이라는 정수형 변수를 선언했다.  화면상에는 문제없이 0이 정상적으로 나온다.그러나 위의 count를 증가시키는 버튼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숫자가 증가하는 반면 num을 증가시키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reactive 함수가 0이라는 값을 만들지 못했다는 경고창과 num 증가.. 2024. 8. 5.
04. 텍스트 보간법, v-html, v-bind vue에서 데이터를 DOM에 바인딩 하는 방법으로는 텍스트 보간법, v-html, v-bind 등이 있다. 간단하게 요약을 해보자면1. {{ }} - 텍스트 보간법: 바인딩 된 데이터를 텍스트로 렌더링해줌2. v-html: 바인딩 된 데이터를 html요소로 반환해줌 (innerHTML과 동일한 기능이라 생각)3. v-bind: html 속성에 데이터를 바인딩할 때 사용 해당 내용을 코드로 한번씩 비교를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1. 텍스트 보간법export default 내부의 data의 htmlTest에 h1 test을 선언한 후 DOM 요소에 텍스트 보간법과 v-html요소를 하나씩 만들었다 해당 코드가 렌더링 되면 다음과 같다.텍스트 보간법으로 선언한 부분은 해당 요소가 텍스트로 (innerTEXT처럼.. 2024. 7. 30.
03. OptionAPI, CompositionAPI vue에서 script를 작성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는 데 제목처럼 OptionAPI, CompositonAPI  두가지 방식이다. 두 방식의 차이는 코드를 통해서 살펴보자 1. OptionAPIOptionAPI 방식은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xport default 내부에 data, method, mounted등의 객체를 선언해서 컴포넌트의 로직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data에 정의된 count에 접근하기 위해서 method나 mounted 부분을 확인해보면 this 키워드를 사용해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CompostionAPIOptionAPI와의 차이는 script 태그에서 setup이라는 키워드가 추가되어있는데setup을 사용하게 되면 스크립트 내부에서 정의한 변수를 템플릿 .. 2024. 7. 25.